물건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대가로 매출이 잡히고 비용을 다 인식하고 세금 이자까지 나가고 나면 순이익이 남는다. 바닥의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은 그야말로 집에 가져가도(배당) 되는 주주들의 돈! 사업해서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이 차곡차곡 쌓이는 곳이 바로 자본에 이익잉여금 계정
(잉여금이 곳간에 쌓여있다는 표현은 오류. 회계적 수치이지 잉여금 금액만큼 회사가 현금을 갖고 있는건 절대 아니다! 사내유보금 과세의 함정. 심플한 회계 기초만 알아도 그런 바보같은 이야기 안할듯!)
2. 현금주의 vs. 발생주의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 차이가 제일 중요한데
현금흐름표의 영업현금흐름이 우리가 그냥 심플하게 생각하는 "얼마 벌어?"에 해당. 영업현금흐름은 직장인으로 보면 매년 실수령 세후 연봉금액으로 보면된다. 통장에 찍힌 월급 입금액의 합계. 이런 통념상의 돈 벌어들이는 수익인식 방법론을 현금주의라고
그런데 현금주의에는 문제가!!
거대한 투자를 통해 공장을 건립했다치자. 회사는 향후 10년간 이 공장에서 꾸준히 매출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공장의 가치는 10년간 서서히 감소될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비는 노후화하고 기대되는 부가가치가 줄어드는 건 당연하니. 마치 자동차 구입하고 한해 두해 지나가면 중고차 가격 하락하는 것과 마찬가지!
현금주의에서는 자산의 이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부화와 가치하락에 대한 부분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현금의 유출입에만 집중하다보니 그럴 수밖에
발생주의는 한마디로 수익과 비용을 대응Matching 시켜줍니다.
예를 들어서 남편이 자동차를 3천만원에 구매했으면 10년 쓸거다 가정되면 매년 300만원을 남편의 비용(감가상각)으로 인식하는 겁니다.
그럼 아내분께서는 이렇게 주장하시면 발생주의 원칙에 입각해서 합리적 주장을 하시는 겁니다. 꿀팁!!
"자기가 좋다고 이 차를 산거니까 앞으로 매년 용돈 300만원 깎을게!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이야!
우리 부부는 지속going concern하는 관계 맞지?
(협박조로~^^*)
그럼~ 그래야 한데 ㅎㅎㅎ
자, 그럼 300만원 12개월로 나누면 매달 25만원 우리집 비용 쓰는 셈이니까 자기 용돈에서 25만원 공제하면 되겠네.
자! 이번달 용돈은 5만원!! 맛난거 사먹어~~홍홍홍~~^^*
발생주의 느낌 퐉 오시나요?!
3. PER vs. EV/EBITDA
PER과 EV/EBITDA는 결국 발생주의로 계산되는 순이익과 비현금적 비용인 감가상각을 거꾸로 더해줘서 현금주의로 만들어준 EBITDA의 차이
EBITDA가 인수합병에 더 빈번히 사용되는 이유는 이유는 회사가 영업으로 벌어들이는 현금 자체를 발라보기 위한 것.
채권자에게 이자를 많이 주던, 세금을 많이 내던, 감가상각이 많던간에 제일 중요한 것은 본질적인 현금 창출능력이 중요하다는 철학이 깔려있는!
4. 자산의 장부가액이 진짜 가치?!
보통 가치투자한답시고 PBR 1배도 안되는 가치주라고 떠들면서 싸니까 사라고 막 이런다.
PBR은 Price Book Value. 즉 시가총액을 자산에서 부채 뺀 순자산(자본총계)로 나눈 값인데
함정은 재무상태표 자산의 수치 자체가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 가치(공정가치)와 다른 경우가 태반이라는 것
제조업의 경우 대부분 자산이 공장건물 기계인 고정자산 항목인데 영업용 고정자산은 시중의 가격과 상관없이 취득당시 원가인 취득원가 기준으로 기록된다. 팔 생각이 없으니까 그렇다 치자.
그럼 PBR 계산할때는? 공정한 가치를
평가해야하니 이 공장의 땅값이 얼마나 올랐는지 알아봐야 진짜 가치가 나온다.
강남 한복판에 시멘트공장 20년전에 설립해서 운영하는 회사가 있다면 회사 고정자산은 이미 감가상각 다되어서 자산은 거의 가치없이 줄어있는데 실제 공장부지 가격은 수조원을 호가할 수 있다.
이럴때는 자산항목에 감가상각 원칙과 실제 시세와 비교하면서 대략적인 자산의 가격을 메겨보는 것도 검증의 방법